경기도 서쪽 끝단에 위치한
넓이 406평방 킬로미터의 강화도는 섬 전체가 하나의 역사 및 문화 유적이다.
수도 방어의 요충지로서
고려 시대부터 외세와 격렬하게 충돌해 온 역사의 현장인 강화는 그래서 호국의
기상이 돋보이는 곳이기도 하지만 그 와중에서 혹독한 박해를 겪어야 했던 신앙
선조들의 믿음과 순교에 이르는 열정도 함께 지니고 있다.
강화 지역이 교회와 특별한
관계를 갖기 시작한 것은 1866년 병인양요와 이에 이은 병인박해 때이다. 어느
박해보다도 극심하게 이루어졌던 병인년의 교난을 야기했던 병인양요의 현장이
바로 강화도이다.강화 군청의 적극적인
사업을 통해 말끔하게 관광지로 개발된 강화도는 특히, 지난 1970년 육지와 연결되는
강화 대교가 개통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다녀올 수 있게 되었다.
강화 지방에서 찾아볼
만한 교회 사적지는 관청리 형방, 갑곶 돈대, 황사영 생가 터 등이다. 강화섬
전체가 하나의 관광지이기 때문에 곳곳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맛볼 수 있다.
순례길 틈틈이
전등사, 청련사, 백련사, 보문사 등의 사찰과 강화산성, 마니산, 참성단, 지석묘
등을 찾을 수도 있다. 순례길에는 어울리지 않겠지만 내가, 인산, 길정, 황포
등 입질이 심심치 않은 낚시터도 곳곳에 있다. 충분한 숙박 시설과 편리한 교통등
가족 단위의 주말 성지 순례 코스로 매우 적당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 신촌에서 새벽 5시
30분부터 저녁 9시 30분까지 매 10분 간격으로 직행 버스가 강화읍을 지나 온수리와
내포리까지 간다. 수원 및 과천, 인천과 부평, 부천에서도 직행이나 완행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울에서 버스
편으로 1시간 30분이 채 못 결려 강화 터미널에 도착하면 우선 가까운 곳에 강화
본당이 있어 강화도를 찾는 순례객들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성당 위쪽으로는
병인박해 당시 천주교인들에 대한 극심한 고문이 자행되던 동헌과 형방이 있다.
병인박해의 회오리는
강화 대교 서쪽 끝에 서 있는 갑곶 돈대(甲串墩坮)에서 일기 시작했다. 버스를
타고 강화 대교를 건너면서 강화동 왼쪽으로 보이는 갑곶 돈대는 1679년에 축조돼
8문이 대포를 설치한 포대를 두었다. 조선 숙종 5년(1676년) 강화에는 모두 5진(鎭)
7보(堡) 53돈대(墩坮)의 국방시설이 설치됐다.
1866년 병인 양요 때
조선 정부가 프랑스인 성직자 9명을 처형한 책임을 물어 강화도를 점령하고자
했던 프랑스 함대가 바로 이곳으로 상륙, 강화성과 문수산성을 점령했다. 결국
프랑스 군은 후퇴했으나 이로인해 강화 지방에서는 병인박해라고 불리는 새로운
박해를 받게 되었다. 갑곶 돈대에서 바라다보이는 바다 건너편의 백사장에서
많은 신자들이 이슬로 사라졌다.
이 박해로 성연순과 원윤철이
통진에서, 1868년 박상손, 우윤집 등이 강화에서 순교했고 1870년에는 통지에서
권 바오로가 순교했다. 갑곶 돈대와 건너편 백사장은 당시의 처절한 순교 현장을
아스라이 되살려 주곤 한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