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교구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공소인 살티 공소에 그 묘가 모셔져 있는
병인박해 당시의 순교자 김영제(베드로)는 일찍이 그 위세가 지방에 크게 떨치던 집안의 후손이었다.
그의 집안이 천주교를 처음 접하게 된 것은 조부 김재권(프란치스코)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부는 당시 서울을 왕래하면서 남인파에 속한
선비이자 초대 천주교회의 창설자인 권일신, 정약용 등 양반들과 접촉하면서 천주교 교리를 익히고 함께 영세함으로써 부산 지방 최초의 신자가 된다.
그의 아들 상은(야고보) 역시 부친의 뜻을 따라 입교해 열심한 신앙 생활을 한다. 그러나 1801년 신유박해로 인해 조부 재권은 교난을
피해 인근 간월골(현재 울산시 울주군 상북면 등억리)로 피신한다. 여기서 김영제는 상은과 경주 최씨(마리아)의 2남 2년 중 맏아들로 태어난다.
1829년 기해박해와 1846년 병오박해가 전국을 휩슬면서 쫓기던 신자들은 영남 지방에가지 밀려온다. 이 때 상은은 지방 관리들의 횡포와
고발, 재산 탈취, 집안 어른들의 배교 강요를 견디다 못해 간월을 떠나 경북의 자인골, 청도 정자동, 월성군 탑곡등을 전전하며 피해 다니다
박해의 칼날이 무디어진 1850년 12월 다시 간월의 불다골로 돌아온다.
간월로 돌아온 영제는 부산 지방에서는 처음으로 당시 경상도 지방을 담당한 다블뤼 안 신부 및 최양업 신부를 맞이해 공소를 설립하고
1858년에는 공소 건물을 짓기도 했다. 당시 간월골에는 경기·충청·전라도 등지에서 박해를 피해 온 많은 신자들이 모여 교우촌을 이루었으며 울산
장대벌에서 순교한 허인백(야고보), 김종륜(루가), 이양등(베드로) 등도 이 지방에서 살다가 붙잡혔다.
1860년 경신박해로 김영제는 부친과 여동생을 비롯한 많은 신자들과 함께 체포된다. 하지만 이 박해는 조정과 무관하게 지방 관리들이
사사로이 일으킨 것으로 조정의 반대와 당사자들의 파면 등으로 9개월만에 그치고 이들은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그 여파로 인해 신자들은
뿔뿔이 흩어지고 공소도 불태워져 없어졌다.
게다가 1866년 병인박해의 화가 적국에 미치고 무진박해가 경상도 지역을 휩쓴 1868년 7월 김영제는 또다시 체포되고 이때 간월, 대재
등지에 숨어 살던 많은 신자들이 잡혀가게 되어 간월 공소는 물론 1840년경 형성된 대재 공소도 함께 소멸된다.
김영제가 잡히면서 집은 불태워지고 가산은 몰수됐으며 가족들은 또다시 흩어지고 만다. 그는 경주 감영으로
이송되고 그곳 감옥에서 허인백 등 울산의 순교자 세 사람을 만나 순교하길르 결의했으나 이들은 울산으로 이송되어 순교했고 김영제만이 중죄인으로
분류돼 대구 감영을 거쳐 서울로 압송된다.
그는 자그마치 9개월간이나 갇혀서 배교를 강요당하고 신부와 교우들의 행방을 추궁당하면서 극심한 고문과 문초를 당했다.
이 때 받은 고문으로 그는 종지뼈가 으스러져 떨어져 나가 불구의 몸이 된다. 그러다가 댜행히도 근 1869년 봄, 마침 나라에 경사가 있어
특별히 사면되어 죽지 않고 고향으로 돌아온다.
흩어진 가족들을 수소문해 안살티에 정착한 그는 여기서 다시 공소를 설립해 회장직을 맡기도 했으며 박해가 뜸해지면서 논밭을 일굴 수 있는
평지를 찾아 현재의 살티로 옮겨 와 살게 된다.
하지만 혹독한 고문으로 인한 장독이 전신으로 퍼지고 상처 부위에서는 항시 피고름이 흘러 한겨울에도 바지를 걷고 진물을 받아 내야 하는 고통
속에 살다가 그는 결국 1875년 숨을 거둔다. 이처럼 고문으로인해 생긴 병이 악화되어 죽음에 이르게 되는 것을 교회에서는 '장하
순교(杖下殉敎)'라 일컫는다.
순교자 김영제는 양반 가문으로 부귀 영화를 누릴 수 있는 신분이었으나 오직 천주를 따르겠다는 굳은 신앙 하나로 세상의 안위를 버리고 순교의
가시밭길을 걸어갔던 것이다.
현재 살티 공소에서 500여 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묘소는 말끔하게 단장돼있고 순교비와 십자가, 제대, 예수 성심상 그리고 성모상과
성지 표지석을 세워 묘역을 다듬어 두었다.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관련 웹사이트
언양 성당 홈페이지 본당소개, 미사/단체 안내, 십자가의 길, 연혁,
신앙전래 200년사, 선교사적지 유물전시관, 가톨릭자료실, 청년사랑방, 청년지 "민들레", 본당지 "죽림골", 게시판, 방명록 등의 정보와
자료를 제공한다